영화 극한직업은 이병헌 감독의 이름을 알린 대표적인 영화입니다.
이병헌 감독의 영화 극한직업은 2019년에 개봉을 하였으며 개봉한 지 15일 만에 관객 수 1000만 명이나 돌파할 정도로 엄청난 인기몰이를 했으며 총 누적 관객 수로는 1600만 명이나 기록했으며 역대급의 관객몰이를 한 영화입니다.
그동안 나오지 않던 신선한 소재인 극한직업은 마약반 경찰이 잠복근무를 위해 치킨집을 열어 감시하려고 했지만
왠지 모르게 너무나도 장사가 잘 돼서 문전성시를 이루지만 정작 본업인 마약반 팀은 해체 위기를 겪고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그린 영화입니다.
이러한 재미 요소가 가득한 극한직업의 등장인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극한직업 영화의 등장인물 및 배경 설명
고상기 역(류승룡) : 뚜렷한 실적이 없어서 위태위태한 팀을 이끄는 반장이지만 의욕이 항상 넘치는 역할입니다. 실적이 없어도 꾸준히 해내려고 하는 모습 때문에 극 중 좀비라고 부릅니다.
장연수 역(이하늬) : 마약반에 유일한 여자 역할이며 무에타이 동양 챔피언 출신으로 소개가 됩니다. 마봉팔 형사와 커플로 극 중에 케미를 보여줍니다.
마봉팔 역(진선규) : 마약반에서 트러블메이커로 역할을 하며 극 중 마봉팔의 본가가 수원 왕갈비집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 소스를 이용해 위장 치킨집의 메뉴에 큰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렇게 수원 왕갈비 통닭이 탄생하게 됩니다.
김영호 역(이동휘) : 극 중 마약반의 미행전문 형사로 해군 특수부대 UDT출신으로 나옵니다.
김재훈 역(공명) : 마약반의 막내 형사로 의욕이 가장 앞서지만 의욕처럼 되지 않고 많이 맞아도 강한 맷집을 자랑하는 행동력 좋은 사람으로 나옵니다.
위의 출연진이 주요 출연자이며 특히 김재훈 역의 공명씨는 이 영화로 인해 인지도가 엄청나게 올랐을 정도로 인생 영화라고 말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음으로는 영화 극한직업의 줄거리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영화 극한직업의 줄거리
언제나 열정이 항상 넘치지만 언제나 실적은 제로인 마포구 경찰서의 마약반은 이번 마약 밀수건에 대해 반드시 잡아야 한다 생각하고 중간책을 잡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안을 생각하게 됩니다.
그런 과정 중 평범한 방법으로는 절대 할 수 없다고 판단한 마약반 팀은 치킨집을 인수해서 잠복근무를 시작하게 됩니다.
하지만 한가하게 치킨집에서 잠복근무를 해서 정보를 얻으려고 했던 바람과는 다르게 갑자기 치킨집이 너무나도 잘 되면서
치킨집을 계속 해야하나 고민과 마약반의 존폐위기와 교차하는 모습이 극 중에 나오게 되면서
마약 수사건을 해결하는 것보다 치킨집 운영을 더 신경 쓰게 되는 상황까지 가게 됩니다.
그렇지만 결국에는 경찰의 본분을 잊지 않고 마약사건을 소탕하기 위해서 작전을 펼치게 됩니다.
스포주의-극한직업 결말
원래 마약사건을 소탕하기 위해 시작한 치킨집이지만 너무나도 장사가 잘 되게 되면서 프랜차이즈 제의까지 받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마약 밀반입을 위한 계획이라는 것을 알아챈 마약반은 결국 이무배 일당을 잡기 위해서 최후 작전 계획을 짜게 됩니다.
그렇게 최후 작전을 통해 마약반은 결국에는 이무배 일당을 잡아 큰 공을 세우게 되며
마지막 장면에서는 전원 특진을 하는 마무리로 끝나게 됩니다.
영화 극한직업의 개인적인 생각
이병헌의 이름을 알리게 된 극한직업은 모든 연령대가 웃고 즐길 수 있는 영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병헌 감독의 유쾌하고 코믹스러운 연출과 배우들의 진지하지만 진지한 상황 속에서 자연스러운 웃음 포인트가 인상적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영화 극 중 지금까지 이런 맛은 없었다. 이것은 갈비인가 통닭인가?라는 대사를 전화를 받으면서 칠 때 영화관에서의 사람들이
웃음이 떠나지 않았습니다. 아마 여러 사람들의 마음속에 대사는 오래도록 기억에 남게 되었을 겁니다.
보통 한국영화라고 하면 억지감동이나 억지웃음이라는 평가가 많은데 이 영화는 그렇지 않고 자연스러운 웃음 포인트가 많아
불편함이 없었던 영화 중의 하나입니다.
어찌 보면 과장된 내용이라고 볼 수 있지만 영화의 설정이라고 생각하고 보시면 편하게 보실 수 있을 거 같습니다.
각 역할마다 연기력이 출중한 사람들이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 영화가 완성도가 있어 보이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몰입도를 깨는 배우가 단 하나도 없다는 점이 이 영화의 강점이며, 액션에도 정말 많은 공을 들였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후반부에서 단체 싸움 씬은 특히 액션에 신경을 썼다고 느낄 정도로 몰입감이 좋았습니다.
그러나 한국적인 요소가 너무나도 강했던 영화이기 때문에 해외에서 성공하기란 쉽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렇기에 외국인에게는 상당히 낯선 부분도 있었을 것이고 왜 웃음포인트인지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도 있었기 때문에 한국에서만 흥행한 영화로 끝이 난 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설날 대목 특수를 노렸던 극한직업은 가족과 친척이 모여 다 같이 영화관을 가서 맘 편하게 볼 수 있는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그 노림수는 완벽하게 성공했습니다.
코미디 장르에서 천만 관객 기록을 만들기 어려운데 이 극한직업은 해냈을 정도로 얼마나 인기가 있었던 영화인가 실감이 들게 합니다. 요즘에도 티브이에 다시 영화를 하게 되면 볼 때마다 치킨을 시켜 먹고 싶다는 강한 열망이 생기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코미디 영화의 진수를 보여준 극한직업은 만약 보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치킨 한 마리를 미리 시켜 드시면서 강력하게 한번 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해운대 리뷰, 감상평 (0) | 2024.06.15 |
---|---|
창궐 영화 줄거리 및 리뷰 (0) | 2024.06.15 |
영화 부산행 리뷰 및 줄거리 (1) | 2024.06.15 |
인사이드 아웃 줄거리 및 리뷰 (1) | 2024.06.14 |
명량 애국심을 갖게 만드는 영화 (0) | 2023.11.18 |